안녕하세요! 대구써밋입니다.
금일 2023년 10월 16일 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이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살펴볼 순서는 매매와 전세 가격 동향을 알아보고 총평으로 마무리하겠습니다.
그럼 지난주와 비교해서 어떤 변동들이 있는지 다음 자료들을 보면서 살펴보겠습니다.
STEP 1. 주간 아파트 매매 가격 변동률(20231016, 단위 %)
대구는 이번 주 아파트 매매 가격이 0.03% 상승하면서 11주째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주 보다 상승률이 0.05% 둔화된 모습입니다. 전국을 살펴보면 세종, 부산, 전남,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들이 상승을 하였습니다. 지난주 보합이었던 세종은 하락으로 돌아섰고 전남과 부산, 제주는 하락을 이어갔습니다.
서울은 21주째 상승을 이어가고 있고, 인천은 20주째, 경기도는 18주째 아파트 매매가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수도권의 상승률은 지난주 보다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전국적으로도 많은 지역들이 지난주 보다 소폭 증가한 모습입니다. 다음 자료에서 대구 구군별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주는 2개의 구가 하락으로 돌아서면서 지난주 보다 상승률이 둔화되었습니다. 지난주 상승이었던 수성구가 하락으로 돌아섰고, 보합이었던 남구가 하락으로 돌아섰습니다. 나머지 구군들은 큰 변동 없이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구군별로 살펴보면 달성군이 23주째 아파트 매매가 상승을 이어가고 있고 동구가 10주째, 달서구가 7주째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상승폭은 동구가 0.18%로 가장 컸습니다.
그래프 보시면 지난주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던 대구의 곡선이 많이 꺾인 모습을 볼 수 있고, 5대 광역시도 소폭 둔화된 모습입니다. 아무래도 대구의 상승률 둔화로 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국의 상승률은 지난주 보다 0.01% 증가하면서 0.07% 상승하였습니다. 이번 주도 5대 광역시 중 부산만 하락 중입니다.
STEP 2. 주간 아파트 전세 가격 변동률(20231016, 단위 %)
대구의 이번 주 아파트 전세가는 하락 전환을 하였습니다. 지난주 0.02% 상승이었는데, 이번 주 -0.02%로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전국적으로는 대부분의 지역들이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대구와 제주만 마이너스입니다. 부산은 지난주 하락이었다가 상승 전환을 하였고 울산은 계속해서 보합입니다.
서울·수도권의 전세가 흐름은 계속해서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주 상승률보다 크게 증가한 모습이고, 대부분의 지방에서도 전세가 상승률이 소폭 증가한 모습입니다. 서울이 22주 연속으로 상승 중이고, 경기도가 17주째, 인천이 11주째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다음 자료에서 대구 구군별 데이터를 살펴보겠습니다.
대구의 아파트 전세가는 수성구와 달성군이 하락으로 돌아서면서 이번주 하락 전환을 했습니다. 구군별로 살펴보면 달서구를 제외한 모든 구군이 하락을 하였습니다. 하반기에 많은 입주가 몰리면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는 힘겨운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구군중에는 달서구가 11주 연속으로 전세가 상승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대구의 이번주 전세가 상황은 지난주 보다 악화되어 마이너스로 떨어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전국과 5대 광역시는 지난주 상승률 보다 증가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전국의 그래프 곡선은 큰 폭으로 상승을 이어갔습니다. 이번 주 서울·수도권과 세종의 상승률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국의 전세가에도 영향을 미친것으로 보입니다.
STEP 3. 총평
이번 주 대구는 아파트 매매가 상승이라는 기쁨과 전세가 하락 전환이라는 슬픔을 동시에 맛보았습니다. 아파트 매매가는 소폭 반등하였지만 전세가는 여전히 고전을 면치 못 하고 있습니다. 대구는 하반기에 많은 입주가 몰려있어 전세가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힘겨운 줄다리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11주 연속으로 아파트 매매가 상승을 이어가고 있는 점은 고무적입니다.
최근 미국(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직후 고조된 미국의 추가 통화 긴축 압력이 최근 다소 줄어들고 있고, 금일 한국은행도 기준 금리를 6 연속 동결하면서 금리 인상 기조는 점차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와 더해져 2025년부터 급감하는 대구 입주물량, 내년 중 금리인하 기대, 총선 전 여러 부동산 부양책(취득세 중과 완화, 대출규제 완화 등)이 나와 준다면 대구 부동산에도 좋은 상황이 올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 주에 더 나은 포스팅으로 돌아올 것을 약속드리며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마무리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의 모든 자료는 한국부동산원에서 발췌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